MY MENU

상호

상호에 있어서 육수(六獸)가 작용하는 길흉관계

육수(六獸)와 학술적 근거자료

우주 만물은 중앙을 중심으로 동쪽은 청룡, 남쪽은 주작, 서쪽은 백호, 북쪽은 현무, 중앙은 구진과 등사로 구분한 것을 여섯 동물로 배치하여 길흉을 예측했던 것이다.
육수사상은 동양의 사신사상(四神思想)에서 중앙의 구진(勾陣)과 등사(螣蛇)를 추가하여 사신 육수(六獸)사상으로 발전하였으며 점술(占術)에서는 육효(六爻)에서 길흉(吉凶)을 판단하는 척도(尺度)로 삼았고, 성명학에서는 출생 년 · 월 · 일 · 시를 기준으로 길흉(吉凶)을 판단하는 근거로 삼았다. 이에 필자는 성명을 뛰어넘어 상호에도 육수의 길흉을 붙여 상호가 CEO에게 적합한지를 예시와 실증을 통하여 이를 증명하고자 한다.

사신사상(四神思想) 또는 육신사상(六神思想)은 고대 동양문화의 고유문화였으며 이는 또한 신선사상(神仙思想)과 같은 연관관계를 이루고 있다. 이들 동물은 현존하는 동물이 아니라 자연계를 지배하는 상상속의 동물이나 자연오행의 木, 火, 土, 金, 水사상이나 다섯 가지 색상 청(靑), 백(白), 황(黃), 흑(黑), 적(赤)과도 깊은 연관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런 학설은 천문오행사상(天文五行思想)의 뿌리에서 출발하였으며, 하늘의 성좌(星座)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송나라 때 소옹(邵雍, 1011-1077)이 저술한 오행육신원결(五行六神員訣)에서는 오행(五行)과 육신(六神), 육수(六獸)를 붙여서 길흉을 보았으며, 고구려 벽화에 나타난 사신도를 연구하여 학술적으로 승화시켰다.

학술적 근거로는 전국시대(戰國時代) 초나라 굴원(屈原)과 송옥(宋玉)이 지었다는 초사(楚辭)에 신선이 풍류를 즐기는 동물로 표현되어 있다. 이런 동양교육사상의 길흉을 성명 또는 상호에 대입(代入)시켰다.

상호와 성명육수(六獸)에서의 10天干배치

甲과 乙은 청룡(靑龍)이라 하고 실무에서는 靑자만 쓴다.
丙과 丁은 주작(朱雀)이라고 하고 실무에서는 朱자만 쓴다.
戊는 구진(勾陳)이라고 하고 실무에서는 勾자만 쓴다.
己는 등사(螣蛇)라 하고 실무에서는 巳자만 쓴다.
庚과 辛은 백호(白虎)라 하고 실무에서는 白자만 쓴다.
壬과 癸는 현무(玄武)라 하고 실무에서는 玄자만 쓴다.

상호나 성명의 吉凶판단에서 六獸의 작용

육수(六獸)의 근원은 천문(天文), 오행(五行), 사상(思想)으로 동양의 신선사상(神仙思想)과 맥을 같이한다. 육수(六獸)의 작용을 대별(大別)하면 다음과 같다.

(1) 청룡(靑龍)

대길한 길신으로써 권위와 경사, 관직의 구분을 알 수 있으며 어느 육친에 성명 발음이 붙는지 여부를 가늠한다. 청룡이 관(官)에 붙으면 고위 관직자나 각 부의 장관, 청와대 비서관, 군의 장성급이며, 기업가는 전문경영인, 회장, 사장 등으로 출세한다. 청룡이 손(孫)에 붙으면 자손에 경사나 귀자를 출산하고 사업상 인덕이 있으며, 찾아오는 손님이 강과 바다를 이룬다.
ex) 유명가수, 인기교수, 금메달리스트, 발명가, 신약개발자 등
청룡이 재(財)에 붙으면 재물이 태산같이 넉넉하고, 선량하며 바르고 어질며 현명한 처를 맞이한다.
또한 사업이 대기업으로 번창하고 인심이 후덕(厚德)해지며 사회적으로 큰 기업가에 속한다.
청룡이 형(兄)에 붙으면 형제의 덕이 있고, 화목하며 가문이 흥왕 한다. 단, 형(兄)이 많이 출현하면 복(福)이 감소한다. 청룡이 부(父)에 붙으면 부모의 혜택이 두텁고 부모가 장수하며, 조상 또는 윗사람의 도움이 크다. 또한 선조의 음덕이 태산줄기 같아 기적을 만들어낸다.

(2) 주작(朱雀)

주작은 상서로운 동물이고 육수의 작용에서는 그 활동이 中上정도로 본다.
주작이 관(官)에 붙으면 중간급 공무원, 중류정도의 개인사업자, 군인이라면 위관급 장교정도로 본다.
주작이 손(孫)에 붙으면 자손이 평범하거나 큰 특기는 없으며, 성실성은 가질 정도이다.
주작이 재(財)에 붙으면 재물이 현실을 유지할 정도이고, 처덕도 무난한 편으로 본다.
주작이 형(兄)에 붙으면 형제수가 많고 대체로 무난하다.
주작이 부(父)에 붙으면 부모로부터 받는 혜택이 어느 정도 있다.

(3) 구진(勾陳)

구진도 길신에 속하나 한편 근심과 걱정도 동반한다.
구진이 관(官)에 붙으면 일반적 공무원이나 공기업의 중간급 이하이며
구진이 손(孫)에 붙으면 자손이 평범하며, 사업관계자도 소소한 도움만 된다.
구진이 재(財)에 붙으면 재물이 소소하고, 처의 조력이 부족하다.
구진이 형(兄)에 붙으면 가난하거나 형제가 멀리 떨어져 산다.
구진이 부(父)에 붙으면 조상의 음덕이 약하고 윗사람의 도움이 크지 않다.

(4) 등사(螣蛇)

등사가 관(官)에 붙으면 직업관이 확실하고 책임감이 있으며, 4∼5급 공무원 정도로 과장, 부장 정도의 직함을 갖는다.
등사가 손(孫)에 붙으면 자손이 부지런하고 유능하며, 거래처가 많고 손님이 모여들어 큰 도움을 준다.
등사가 재(財)에 붙으면 재물이 차차 일어나고 행운이 있으며, 똑똑한 처를 맞이한다.
등사가 부(父)에 붙으면 부모의 후광을 얻고, 조상의 지도를 받는다.
등사가 형(兄)에 붙으면 형제의 도움으로 재기할 수 있고, 우애도 두텁다. 또한 조직을 잘 관리하고 동거동락(同居同樂)하는 기질이 있다.
ex) 정치인, 체육인

(5) 백호(白虎)

백호가 관(官)에 붙으면 권세가 태산 같고 인기가 치솟으며, 선거에 유리하며 용맹하고 충직심이 강하다. 공무원은 2∼3급 정도이며 민간기업 에서는 부장, 전무 등으로 출세한다.
백호가 손(孫)에 붙으면 자손이 근면하고 부지런하며, 불굴의 의지력이 강하다. 또한 용맹하거나 스포츠 선수로 활약하고 인덕이 두텁다.
ex) 사업가, 큰농장, 백화점 등
백호가 재(財)에 붙으면 재물이 태산같이 모이고 부동산, 기술, 특허 등으로 성공한다.
백호가 부(父)에 붙으면 재산이 자손에게 전하여지며, 조상의 음덕(蔭德) 또는 선령(仙靈)의 도움으로 출세한다.
백호가 형(兄)에 붙으면 그 형제의 덕이 약한 면도 있으나 내가 곤경에 빠지면 구원해주는 역할도 한다.
※ 육효(六爻) 점사와는 다르다.

(6) 현무(玄武)

현무가 관(官)에 붙으면 하위직 공무원이나 소규모 사업가이며, 군에서는 하사관급이나 위관(尉官)급이고, 공무원에서는 7∼10급 공무원에 속한다.
현무가 손(孫)에 붙으면 자손이 하위직이나 임시직이나 일반 기술자이다.
현무가 재(財)에 붙으면 한 두 차례 실패 후 성공도 하나 자립할 수 있을 정도이다. 겨우 조그마한 자기 집 하나에 살 수 있을 정도이다.
현무가 부(父)에 붙으면 부모의 유산이 거의 없거나 부모가 질병으로 고생한다.
현무가 형(兄)에 붙으면 형제의 우애가 약하고 노력이 부족하며, 출세하는 형제가 없다.

※ 육수의 검증은 역대 법조인들의 성명을 참고로 하였다.
법조인 3162명의 작명 육수를 적용하여 검증해본 결과 官(직업 · 직위)에 청룡, 백호, 등사가 출현하였다. 법조인 성명은 “한국 법조인 대관”(1982년 10월 발행, 편집-주식회사 법률 신문사 출판부, 발행인-최한갑, 인쇄인-동아인쇄공업주식회사)에서 참고하였다.
※ 육수(六獸)로 이름이나 상호를 감정하면 선조의 음덕, 부모형제의 화목, 정치적 성공, 자손이나 사업상 고객운집, 직장의 등급(직위)를 들여다 볼 수 있고 예측이 쉬워진다.
육수측면으로 이름 상호를 보면 간단한 것 같지만 12支의 합충(合冲)에 따라 옹달샘이 되기도 하고 큰 호수나 대해(大海)가 되기도 한다. 또한 같은 년 · 월 · 일 · 시 사주가 같아도 성씨(姓氏)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오면 형제(兄弟)에 따라 등위가 다르게 평가해야 되는 어려움도 있다. 그래서 선인(先人)들도 이 육수법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만 활용하였다.